본문 바로가기
톡톡정보

2025 청년정책 생활 복지 저출생 분야에서 꼭 알아야 할 8가지

by flying needle 2025. 3. 16.

내 삶을 풍성하게 해줄! 정책들이 준비되어있다곰!

목차
1.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
2. 마음건강 챗봇 서비스
3. 위기청년 지원정책
4. K-패스
5. 청년문화예술패스
6. 일.육아지원제도 확대
7. 신생아 특례대출
8. 주거지원 강화

1.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

우울, 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으로 심리상담이 필요한

국민에게 심리상담 서비스 이용권 총 8회 제공

 


2. 마음건강 챗봇 서비스

[국립정신건강센터]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

우울증 자가검진정신건강 관련 기관 정보 제공

 

3. 위기청년 지원정책

4개 시도(인천, 울산, 전북, 충북)

위기청년 대상 원스톱 전담 창구 운영

가족돌봄 고립은둔
- 아픈가족을 돌보는 13 ~ 34세 청년
- 연 200만원 자기돌봄비 지급
- 19 ~ 39세 고립.은둔 청년
- 고립정도에 따른 프로그램 제공
신청방법 청년미래센터, 청년ON 누리집
자립준비청년 맞춤형 지원
- 보호 종료 후 5년간 자립수당 지급
- 만 24세까지 보호기간 연장
자립지원전담기관 운영 및 5년간 사후관리
- 의료비 지원사업, 공공임대 우선공급 및 학자금 대출 무이자 지원등

 

4. K - 패스

월 15회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
최대 60회까지
대중교통비의 일정 비율 환급
적립률 청년 30%, 저소득 53% 적립
대중교통 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선, 광역버스, GTX 등

 

5. 청년문화예술패스

대한민국 19세 청년이라면 누구나

10 15만원의 공연.전시 관람비 지원

*예산 소진 조기마감

대상 19 ~ 34세 무주택 청년
* 2006.1.1 ~ 2006.12.31 출생자
내용 인터파크, 예스24 (향후 추가 가능)

 

일. 육아지원제도 확대
일. 육아지원제도 확대

6. 일. 육아지원제도 확대

육아휴직 급여인상

* 25.11

지원

2,310만원
육하휴직 12개월시
최대 급여액
1 ~ 3개월 월 최대 250만 원
4 ~ 6 개월 월 최대 200만 원
7 ~ 12개월 월 최대 160만 원
한부모 특례 첫 3개월 월 최대 300만원
중소기업 육아휴직 대체인력지원금 신설 및 상한 확대 (120만 원)

 


육아휴직 급여인상

*25.2.23

(현행)1년 -> (개정) 1년 6개월*
*부모 모두 3개월 육아휴직, 한부모, 중증장애 아동 부모

육아기 근로시간 단축확대

*25.2.23

고용노동부 근로시간 확인하기

자녀연령  8세(초2) -> 12세(초6) 이하
사용기간 최대 2년(1년+육아휴직 미사용기간)
-> 최대 3년(1년+육아휴직 미사용기간X2)

 


육아휴직 급여인상

*25.2.23

구분 24년 25년 2월
휴가기간 10일 20일
사용기간 90일 120일
분활횟수 1회 3회

* 급여지원 : 중소기업근로자5일 -> 20일

 

신생아 특례대출
신생아 특례대출

7. 신생아 특례대출

25년 이후 출산가구에 대한 구입.전세자금 대출 소득요건 완화!

디딤돌 대출 부부합산 연소득 1.3억 원, 맞벌이 부부 2억 원.
순자산가액 4,88억 원

금리 : 연 1.6% ~ 4.30%
/ 한도 : 5억 원 이내
*LTV 70%,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LTV 80%, DTI 60% 이내
버팀목 대출 부부합산 연소득 1.3억 원, 맞벌이 부부 2억 원.
순자산가액 3,37억 원

금리 : 연 1.1% ~ 4.10% / 한도 : 3억 원 이내

 

주거지원 강화
주거지원 강화

8. 주거지원 강화

25년 출산가구 대상 12만 호+a 공급(연간)

주택공급 - 2세 미만 출생가구 최우선 고급 신설
- 매입임대 신혼,출산가구 6.1만 호 공급 ('24~'25년)
청약요건 완화 - 신규 출산가구 대상 특공추가청약 1회 허용
- 신혼 특공 시 청약 신청자의 결혼 전 청약당첨 이력 배제
- 무주택 조건은 입주모집공고 시에만 충족

 

2025 생활, 복지, 저출생 분야에서 꼭 알아야 할 청년정책 8가지
2025 생활, 복지, 저출생 분야에서 꼭 알아야 할 청년정책 8가지

반응형